제가 다니는 학교에 김용민이라는 교수님이 있습니다. 루소 연구의 권위자이신데 확실히 글을 보면 절정까지는 아니지만 꾸준하게 한 길을 걸어 온 학자 특유의 뚝심과 내공이 느껴지는 분입니다. 어쩌다가 이 분 수업 후 질문을 했습니다. 내용인 즉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 중요한 것은 그것이 '정치'와 '도덕'을 분리함으로 근대로의 길을 연 것이지, 중간중간의 '제왕학적 전술'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내용이 아니냐는 질문이었습니다.
이에 대한 교수님의 대답은 '그것 역시 중요하다'는 것이었는데 사실 이 부분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지극히 당연한 답변입니다. 물론 마키아벨리가 도덕, 정치 분리 뿐 아니라 힘을 사용할 때도 그것이 군주와 국가에게 이득이 되는 한 수단적 이성에 한해 행하라는 면에서 마키아벨리의 사례 열거는 의미가 있음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결국 그것도 큰 틀에서 본 것이고 하나하나 따질 가치는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러한 전술 열거가 서양에서는 꽤나 혁신적이었을지 몰라도 일찍부터 제왕학이 발달하고 온갖 전략과 전술이 응용된 동양에서는 오히려 가볍게 여겨지거든요.
그럼에도 교수님의 이어지는 말을 듣고 책을 접할 때 좀 더 겸손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이 책은 저자가 무려 15년에 걸쳐 썼기에 문장 하나하나에 그의 지혜가 담겨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하며 미국 대학원에서는 이러한 텍스트 하나를 가지고 한 학기를 씨름한다고 하셨습니다 . 저같은 무지랭이 학부생이야 아무렇지도 않게 보고 논하는 책들이지만 이는 바다에 발 담구고 바다를 안다고 설침에 불과한 거죠. 더군다나 당시는 함부로 책을 쓸 수도 없었던 시기였기에 문장에 깊은 뜻을 숨길 가능성도 높은데 말입니다. 진정한 앎은 단순히 읽고 정보만 알았다고 되는 게 아니라 이처럼 긴 저자와의 싸움을 통해서야 얻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비단 고전 뿐만이 아니라 다른 책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넓게는 책을 넘어서 영화나 음악, 미술 등 기타 매체도 그것을 창조한 이의 노력과 지혜가 담겨있을 것입니다. 물론 그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적어도 단순히 남들이 창조한 무언가를 접하는 입장에서 한두마디로 단평하거나 깎아 내리기에는 창조자가 들인 공은 가볍지 않을 것이고 그들이 미처 읽어내지 못한 지혜가 숨어있을 것입니다. 물론 뭔가를 빠르게 접하고 평가하는 것이 효율성 면에서는 나을 지 몰라도 대상에 대해 좀 더 겸손하게 접하는 쪽이 그 안에 담긴 지혜를 온전히 읽어낼 수 있고 장기적으로 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향이 아닐까 합니다.
이에 대한 교수님의 대답은 '그것 역시 중요하다'는 것이었는데 사실 이 부분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지극히 당연한 답변입니다. 물론 마키아벨리가 도덕, 정치 분리 뿐 아니라 힘을 사용할 때도 그것이 군주와 국가에게 이득이 되는 한 수단적 이성에 한해 행하라는 면에서 마키아벨리의 사례 열거는 의미가 있음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결국 그것도 큰 틀에서 본 것이고 하나하나 따질 가치는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러한 전술 열거가 서양에서는 꽤나 혁신적이었을지 몰라도 일찍부터 제왕학이 발달하고 온갖 전략과 전술이 응용된 동양에서는 오히려 가볍게 여겨지거든요.
그럼에도 교수님의 이어지는 말을 듣고 책을 접할 때 좀 더 겸손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이 책은 저자가 무려 15년에 걸쳐 썼기에 문장 하나하나에 그의 지혜가 담겨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하며 미국 대학원에서는 이러한 텍스트 하나를 가지고 한 학기를 씨름한다고 하셨습니다 . 저같은 무지랭이 학부생이야 아무렇지도 않게 보고 논하는 책들이지만 이는 바다에 발 담구고 바다를 안다고 설침에 불과한 거죠. 더군다나 당시는 함부로 책을 쓸 수도 없었던 시기였기에 문장에 깊은 뜻을 숨길 가능성도 높은데 말입니다. 진정한 앎은 단순히 읽고 정보만 알았다고 되는 게 아니라 이처럼 긴 저자와의 싸움을 통해서야 얻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비단 고전 뿐만이 아니라 다른 책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넓게는 책을 넘어서 영화나 음악, 미술 등 기타 매체도 그것을 창조한 이의 노력과 지혜가 담겨있을 것입니다. 물론 그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적어도 단순히 남들이 창조한 무언가를 접하는 입장에서 한두마디로 단평하거나 깎아 내리기에는 창조자가 들인 공은 가볍지 않을 것이고 그들이 미처 읽어내지 못한 지혜가 숨어있을 것입니다. 물론 뭔가를 빠르게 접하고 평가하는 것이 효율성 면에서는 나을 지 몰라도 대상에 대해 좀 더 겸손하게 접하는 쪽이 그 안에 담긴 지혜를 온전히 읽어낼 수 있고 장기적으로 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향이 아닐까 합니다.
'수령님 사상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와 나 (20) | 2008.03.13 |
---|---|
사관은 중요한가? (0) | 2007.11.04 |
겸손한 책읽기 (17) | 2007.09.21 |
당신은 그 남자를 얼마나 아십니까? - 이 시대의 아버지는 불행한가? (22) | 2007.08.23 |
지성인과 나 (5) | 2007.07.13 |
당신의 생각을 수정하시오 (25) | 2007.06.05 |
ps. 엘호포스팅은 계속되어야 합니다.
늦었지만 동무들 날레 축하들 하시라우요!
언급하신 교수님의 말씀을 넘어서,,
대체 그동안 학자들의 이해가 맞는것일가..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죠
이어져서 공부해도 해도,, 참 모르겠고
읽어보지 않고 논하지도 마~ 란 이야기를 들을땐.. 읽기만 하면 되나 싶고
(이게 먼소리 댓글이래~_~)
ps. 교수님들 말을 들으면 이 말이 맞는가 헛갈리는데 혼자 읽으면 아예 뭔 소린지 모르겠어요 ㅠ_ㅠ
ps. 그런데 맑과 막의 발음 차이는 대체 무엇일까요 -_-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