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윤대를 보니 이어령이 그리워진다어윤대를 보니 이어령이 그리워진다
Posted at 2009. 3. 18. 21:17 | Posted in 예산낭비 문화부
비록 매일같이 관방을 씹어대며 하루하루의 한을 푸는 인생이지만 나 역시 한 나라의 신민이다. 가기 싫어도 꼬박꼬박 예비군 훈련도 나가고, 내기 싫어도 월급에서 세금은 정산되어 나간다. 물건 하나 살 때마다 떼먹고 싶은 VAT는 떼어 먹을 수도 없다. 기타 등등 뭐가 많은 것 같다. 그래도 나라가 망하는 것보다는 흥하는 것이 좋은 법, 최근 한국의 국가브랜드가 33위에 그친다는 기사가 그리 보기 좋지는 않았다. 그런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명박 정부가 무려 '국가브랜드 위원회'까지 꾸리며 이미지 제고에 나선다고 한다. 그 위원장이자 해결사인즉 바로 어윤대!

어윤대가 갑자기 뜬 것인즉 우리의 대통령각하를 낳은 위대한 민족고대의 네임 밸류를 부쩍 올렸다는 점이다. 그가 'CEO형 총장'을 내세운 이후 막걸리 고대가 와인 고대로 불린다는 설도 있고 국제화가 무지 되었다고 자랑을 한다. 그리고 건물 꽤나 많이 올렸다. 그러나 난 이를 통해 정말 고려대의 교육이 나아졌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은 없다. 쓸데 없이 영어 수업이 많아져 학생도, 교수도 힘들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은 꽤 많지만. 예전에 본인이 언급한 대학의 대학의 글로벌화 전략에 불을 붙인 게 고려대고 이후 많은 대학이 이 길을 걸으며 선행주자로의 이점은 누렸지만 이게 그냥 속빈 강정이란 거, 알 사람은 다 안다.
사실 문화란 건 산업보다 훨씬 복잡한데 어윤대가 이를 집어낼 수 있을까는 매우 걱정스럽다. 문화는 내적인 무엇과 외적인 무엇, 그리고 그 둘간의 교류의 총체이며 절대 단기적인 시각에서 가꾸어 나갈 수 없는, 일종의 삼투압적인 특징을 가지는데 그 고려대 총장 시절 보여준 모습은 장기적인 브랜드를 형성했다기보다는, 단기적인 이미지 제고에 성공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유형적인 무언가도 무형적인 요소가 작용하기에 그냥 좋은 제품 찍어낸다고 상품이 팔리는 것은 아니고 이에 대한 이미지 메이킹은 필요하다. 단지 그 이미지 메이킹을 뛰어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그를 믿고 있기에는 '문화'라는 장벽이 너무 높지 않을까? 최준식 교수가 '유일하게 문화를 이해하는 문화부 장관'이라고 이야기한 이어령 박사가 새삼 그리워진다. 인터뷰를 찾아보니 내 생각이 딱히 틀린 것 같지는 않다. 링크는 아래에 첨부했으니 한 번 읽어 보시길 권한다.
어윤대가 갑자기 뜬 것인즉 우리의 대통령각하를 낳은 위대한 민족고대의 네임 밸류를 부쩍 올렸다는 점이다. 그가 'CEO형 총장'을 내세운 이후 막걸리 고대가 와인 고대로 불린다는 설도 있고 국제화가 무지 되었다고 자랑을 한다. 그리고 건물 꽤나 많이 올렸다. 그러나 난 이를 통해 정말 고려대의 교육이 나아졌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은 없다. 쓸데 없이 영어 수업이 많아져 학생도, 교수도 힘들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은 꽤 많지만. 예전에 본인이 언급한 대학의 대학의 글로벌화 전략에 불을 붙인 게 고려대고 이후 많은 대학이 이 길을 걸으며 선행주자로의 이점은 누렸지만 이게 그냥 속빈 강정이란 거, 알 사람은 다 안다.
사실 문화란 건 산업보다 훨씬 복잡한데 어윤대가 이를 집어낼 수 있을까는 매우 걱정스럽다. 문화는 내적인 무엇과 외적인 무엇, 그리고 그 둘간의 교류의 총체이며 절대 단기적인 시각에서 가꾸어 나갈 수 없는, 일종의 삼투압적인 특징을 가지는데 그 고려대 총장 시절 보여준 모습은 장기적인 브랜드를 형성했다기보다는, 단기적인 이미지 제고에 성공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유형적인 무언가도 무형적인 요소가 작용하기에 그냥 좋은 제품 찍어낸다고 상품이 팔리는 것은 아니고 이에 대한 이미지 메이킹은 필요하다. 단지 그 이미지 메이킹을 뛰어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그를 믿고 있기에는 '문화'라는 장벽이 너무 높지 않을까? 최준식 교수가 '유일하게 문화를 이해하는 문화부 장관'이라고 이야기한 이어령 박사가 새삼 그리워진다. 인터뷰를 찾아보니 내 생각이 딱히 틀린 것 같지는 않다. 링크는 아래에 첨부했으니 한 번 읽어 보시길 권한다.
'예산낭비 문화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과 '영어공부'의 아이콘 오바마 (30) | 2009.04.05 |
---|---|
괴물은 바로 김연아를 바라보는 한국인 (36) | 2009.03.30 |
어윤대를 보니 이어령이 그리워진다 (26) | 2009.03.18 |
체 게바라 두 번 죽이기 (47) | 2009.01.11 |
어머니가 장애인 아들 따라 대학가야 하는 나라 (12) | 2008.12.01 |
소주 선전까지 학벌이냐... (18) | 2008.10.25 |
또한 민주주의 문화나 법치의 문화를 한정해 보더라도 국가브랜드를 얼마나 끌어내리고 있는지 정치인들의 의식과 자각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TXGFR2r3w4
한국만화시장을 완전히 초토화시킨 장본인으로 만화계 사람들 중에는
그를 싫어하는 사람 상당히 많은데요...
고삐리들 일진회 사건 하나로 만화를 청소년유해매체로 단정,
문구점과 일반서점에서 만화책 유통이 중지되었고 그때 입은 데미지는
한국만화의 성장잠재력을 완전히 잘라버렸죠.
그 후에는 대여점과 스캔본 크리들이 줄줄이...
이어령씨 존경한다....그러나 그기까지다....
80년대 패러다임으로 21세기를 규정하려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국문학자와 경영학자를 단순비교해서 또 어쩌자는 것인가?
다 말장난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