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인'에 해당되는 글 1건
공인과 유명인, 그리고 도덕성공인과 유명인, 그리고 도덕성
Posted at 2009. 10. 28. 12:59 | Posted in 예산낭비 문화부
요즘 김현진씨 이야기로 시끄럽다. 사건의 전말은 대충 한윤형씨의 글을 참조하자. 이걸 가지고 왈가왈부하고 싶지는 않고 '공인'과 '유명인' 그리고 이들에게 요구되는 도덕성에 대해 한 번 논해보고자 한다.
현재 김현진씨는 공인인데 당연히 행동에 대한 욕을 먹는 거 아니냐, 김현진씨는 공인도 아닌데 왜 개인 문제 가지고 난리냐... 이런 이야기들이 반복되고 있다. 나는 김현진씨가 과도하게 욕을 먹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생각하나, 또 이는 당연히 받아들여야 할 현실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김현진씨가 '공인'은 아닐지언정 '유명인'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진보인사...
이제 '공인의 선이 어디인가?'라는 논쟁은 군대 떡밥만큼이나 지겨운 떡밥이 되어버렸다. 그런데 왜 이런 논란이 계속해서 생기고 있는 걸까? 현대사회는 엄청난 속도로 정보가 유통되고 유통채널도 이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만큼 늘어났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이전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많은 사람이 대중의 '주목'을 받는 '유명인'이 생겨났다.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는 이들 '유명인'들에게 '공인'이라는 딱지를 붙이며 생활에서의 도덕성을 요구한다. 공인이냐, 아니냐를 묻는 건 그다지 생산적이지 않음에도 '유명인'이라면 이제 일정 수준의 도덕성은 요구받을 수 밖에 없다고 본다.
공인 딱지 붙이기만큼이나 쉽게 볼 수 있는 좌빨 딱지 붙이기
유명인은 명성과 이미지를 통해 먹고 산다. 유명인은 유명하기 때문에 유명인이며 유명하기 때문에 유명해진다. 명성과 이미지에 양의 되먹임(positive feedback)이 작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유명인은 자연스럽게 비유명인에 비해 엄청난 특혜를 받는다. 유명인이 책을 내면 비유명인에 비해 몇 배나 팔려 나가며, 유명인이 광고에 나가면 비유명인과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의 광고비를 받는다. 유명인이 한 마디를 발언하면 비유명인과 달리 큰 영향력을 지닌다. 그리고 이는 미디어와 입을 타고 나름의 팬층을 형성하게 만든다.
이가 잘못되었다는 건 아니다. 브랜드가 원래 그런 거니까. 중국의 amycall과 삼성의 anycall은 의외로 큰 성능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가격 차이는 엄청나고 이는 받아들여야 할 사실이다. 마찬가지로 유명인의 한 마디가 더 큰 힘을 갖고 사람들이 오버해서 반응하는 현실 자체를 뭐라 할 수 없다. 하지만 동시에 유명인이라면 본인이 그 유명세의 덕을 보는 것만큼 유명세를 통해 미끄러지는 것 역시 각오해야만 한다. 모든 것이 과도하게 이미지화되고 이가 사람들의 입을 타고 강화됨은 미디어의 단순한 속성 이상으로 본질이다.
물론 우리가 유명인의 사생활을 낱낱이 파헤쳐 해부할 권리는 어디에도 없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사생활이 알려질 경우 이가 유명인의 명성을 그 작은 사건 이상으로 떨어뜨리는 건 당연히 받아들여야 하는 게 아닐까? 대중이 유명인에게 일정 이상의 도덕성을 요구할 권리와 근거는 없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유명인들이 과도하게 욕을 먹고 있다고 아무리 외쳐봐야 아무 것도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그게 그리 보기 싫으면 인터넷을 하지 말던가.
현재 김현진씨는 공인인데 당연히 행동에 대한 욕을 먹는 거 아니냐, 김현진씨는 공인도 아닌데 왜 개인 문제 가지고 난리냐... 이런 이야기들이 반복되고 있다. 나는 김현진씨가 과도하게 욕을 먹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생각하나, 또 이는 당연히 받아들여야 할 현실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김현진씨가 '공인'은 아닐지언정 '유명인'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진보인사...
이제 '공인의 선이 어디인가?'라는 논쟁은 군대 떡밥만큼이나 지겨운 떡밥이 되어버렸다. 그런데 왜 이런 논란이 계속해서 생기고 있는 걸까? 현대사회는 엄청난 속도로 정보가 유통되고 유통채널도 이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만큼 늘어났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이전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많은 사람이 대중의 '주목'을 받는 '유명인'이 생겨났다.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는 이들 '유명인'들에게 '공인'이라는 딱지를 붙이며 생활에서의 도덕성을 요구한다. 공인이냐, 아니냐를 묻는 건 그다지 생산적이지 않음에도 '유명인'이라면 이제 일정 수준의 도덕성은 요구받을 수 밖에 없다고 본다.
유명인은 명성과 이미지를 통해 먹고 산다. 유명인은 유명하기 때문에 유명인이며 유명하기 때문에 유명해진다. 명성과 이미지에 양의 되먹임(positive feedback)이 작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유명인은 자연스럽게 비유명인에 비해 엄청난 특혜를 받는다. 유명인이 책을 내면 비유명인에 비해 몇 배나 팔려 나가며, 유명인이 광고에 나가면 비유명인과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의 광고비를 받는다. 유명인이 한 마디를 발언하면 비유명인과 달리 큰 영향력을 지닌다. 그리고 이는 미디어와 입을 타고 나름의 팬층을 형성하게 만든다.
이가 잘못되었다는 건 아니다. 브랜드가 원래 그런 거니까. 중국의 amycall과 삼성의 anycall은 의외로 큰 성능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가격 차이는 엄청나고 이는 받아들여야 할 사실이다. 마찬가지로 유명인의 한 마디가 더 큰 힘을 갖고 사람들이 오버해서 반응하는 현실 자체를 뭐라 할 수 없다. 하지만 동시에 유명인이라면 본인이 그 유명세의 덕을 보는 것만큼 유명세를 통해 미끄러지는 것 역시 각오해야만 한다. 모든 것이 과도하게 이미지화되고 이가 사람들의 입을 타고 강화됨은 미디어의 단순한 속성 이상으로 본질이다.
물론 우리가 유명인의 사생활을 낱낱이 파헤쳐 해부할 권리는 어디에도 없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사생활이 알려질 경우 이가 유명인의 명성을 그 작은 사건 이상으로 떨어뜨리는 건 당연히 받아들여야 하는 게 아닐까? 대중이 유명인에게 일정 이상의 도덕성을 요구할 권리와 근거는 없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유명인들이 과도하게 욕을 먹고 있다고 아무리 외쳐봐야 아무 것도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그게 그리 보기 싫으면 인터넷을 하지 말던가.
'예산낭비 문화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대녀 사건을 바라보는 몇 가지 다른 시각들 (57) | 2009.11.11 |
---|---|
좌빨 문화연구가 헛발질하는 이유 (18) | 2009.10.30 |
공인과 유명인, 그리고 도덕성 (16) | 2009.10.28 |
승자에게 찬사를, 패자에게 비난을! (14) | 2009.10.25 |
개념 번역보다 외래어 표기법부터 (17) | 2009.10.12 |
표절에 맞서는 우리의 자세 (30) | 2009.10.01 |
어쩔수 없이 자본, 권력에 종속된 존재지만 예전의 광대, 꼭두각시 이미지는 없지요.
기존의 '공인'이라는 용어를 빌어 논의를 전개하기엔 아귀가 잘 안맞는 느낌입니다.
새로운 개념, 프레임이 필요할 듯 하네요.
사실 우리나라만큼 연예인에 대해 박한 나라는 없다고도 봅니다. 누구보다도 엄격하게 감시해야할
국민의 대표이신 격투기 선수분들에게는 잠시 잠깐 분노하고 연예인의 실수는 몇년이 지나도 씹히니까요.
저는 이 문제에 대해서 이승환님처럼 유명세도 작용하지만 처음부터 별 기대를 안했던 정치인에 비해
계속 눈에 띄고 이미지로 먹고 살아야할 연예인에게 대중들이 무의식적으로 친근감을 느끼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한 연예인이 좋은 역할을 맡아서 대중들의 입맛에 합치 되면 그 순간부터 하룻밤 사이에 유명해지고
처음부터 사생활이 깨끗했던 사람이라면 모르겠지만 점차 관심도의 증폭에 따라 드러나는 사생활의 치부는 어쩔 수 없는 것이겠지요...연예인들이 공인은 아닙니다. 다만 청소년이나 대중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정치인이나 기타 공인들보다도 더 지대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공인은 아니나 공인"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
거의 전적으로 이승환님 생각에 동의하고 있습니다.
한줄요약 : 이승환님 만세!
김현진씨가 욕 먹는 건 전 너무 당연한 것 같습니다. 단지 사생활 공개하고 이런 건 좀 아니라고 보는데 출판사 쪽 대응을 보면 저같아도 홧김에 저지를 법하더군요. 김현진씨와 얽힌 일도 그렇고. 목수정보다 더 구하기 힘든 상황인 것 같아요_-_
근데 트랙백은 언제 보낼꺼냐는?
담엔 제대로 규합을 해 보아야 할 듯...